우리는 고조선을 어떻게 이어왔는가 pdf 다운

우리는 고조선을 어떻게 이어왔는가 pdf 다운로드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고조선의 역사 연구에 수십 년간 매진해오고 있는 인하대학교 복기대 교수가 그동안 모아온 방대한 고조선 자료를 묶어 한 권의 책으로 펴냈다

관련 교재 pdf 모음

한국사 고려대학교 연구소 pdf 다운

책 소개

“환웅이 신령스러운 쑥 한 자루와 마늘 20개를 주고 ‘이것을 먹고 백 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곧 사람이 되리라.’ 하였다. 곰과 호랑이가 이것을 먹고 삼칠일 동안 금기를 지키자 곰은 여자의 몸을 얻었고 호랑이는 금기를 지키지 못하여 사람이 되지 못하였다. 웅녀는 혼인해주는 이가 없어 항상 신단수 아래서 임신하기를 축원하였다. 이에 환웅이 잠깐 변하여 결혼하여 아들을 낳으니 이름을 단군왕검이라고 하였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삼국유사』에 나오는 단군왕검의 출생사이다. 단군신화는 마치 그리스로마 신화나 동화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로 받아들여진다. 이 책의 저자는 단군이 신화 속 인물이 아니라 실존 인물이었으며, 그가 살았던 고조선이 우리의 역사 속에 실제로 존재한 나라였음을 삼국시대부터 현대까지 전해 내려오는 다양한 문헌 사료 속에서 실증 자료를 찾아냈다. 이 책은 전체 6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는 삼국시대, 2부는 고려시대, 3부는 조선시대 고조선 인식 문헌 사료이다. 4부에는 중국의 고조선 인식 문헌 사료를 수록했다. 5부는 짧지만 유럽의 시각을, 6부는 한국사에서 고조선 인식의 흐름을 분석해 저자의 의견을 제시했다. 전통시대의 단군 인식에서 출발하여 현대 한국사 교과서에서의 단군과 고조선 인식도 다루었다. 그리고 부록으로 태조 이성계 신도비문을 정리해두었다. 조선의 연원을 단군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사료이다.

우리는 고조선을 어떻게 이어왔는가

우리는 고조선을 이어왔는가 pdf

서문

1부 삼국시대의 고조선 인식 문헌 사료
1. 『삼국사기(三國史記)』
2.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3. 『삼국유사(三國遺事)』

2부 고려시대의 고조선 인식 문헌 사료
1. 『제왕운기(帝王韻紀)』
2. 『고려사(高麗史)』
3.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3부 조선시대의 고조선 인식 문헌 사료
1장 국가 문집
1.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
2.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3.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
4. 『세종실록(世宗實錄)』 「예지(禮志)」 ‘오례’
5.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중 「왕검성(王儉城)과 아사달(阿斯達)」 기록
6.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7.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8. 『일성록(日省錄)』
9. 『동국통감(東國通鑑)』
10. 『동문선(東文選)』
11.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12. 『만기요람(萬機要覽)』
13. 『홍재전서(弘齋全書)』

2장 개인 문집
1. 『양촌집(陽村集)』
2. 『지봉유설(芝峯類說)』
3. 『잠곡유고(潛谷遺稿)』
4. 『갈암집(葛庵集)』
5. 『미수기언(眉叟記言)』
6. 『약천집(藥泉集)』
7. 『성호사설(星湖僿說)』
8. 『동사강목(東史綱目)』
9. 『수산집(修山集)』
10. 『담헌서(湛軒書)』
11.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12. 『열하일기(熱河日記)』
13. 『동계집(東谿集)』
14.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15.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
16. 『해동역사(海東繹史)』
17. 『연원직지(燕轅直指)』
18. 『임하필기(林下筆記)』

4부 차이나계의 고조선 인식 문헌 사료
1. 『산해경(山海經)』
2. 『여씨춘추(呂氏春秋)』
3. 『사기(史記)』
4. 『회남자(淮南子)』
5. 『진서(晋書)』 「재기(載記)」 제9 ‘모용황(慕容皝)’
6. 보장왕 묘지명
7. 『구당서(舊唐書)』 권5 「본기(本紀)」 제5 ‘고종하(高宗下)’
8. 『태평환우기(太平寰宇記)』
9. 『요사(遼史)』

5부 서양의 고조선 인식 문헌 사료
1. 프랑스
2. 독일

6부 한국사에서 고조선 인식의 흐름
1. 들어가는 말
2. 전통 시대의 고조선 인식
3. 근대 교육제도 도입기의 고조선 인식
4. 1910년 이후 대일 항쟁기의 고조선 인식
5. 환국정부 수립 과도기의 고조선 인식
6. 1974년 국정교과서 이후의 고조선 인식
7. 맺음말

부록_태조 이성계 신도비문

Leave a Comment